200페이지 분량의 매뉴얼인 '디지털 화폐 : 간부들을 위한 해설서'가 1월에 2판 인쇄에 들어갔다. 이 암호화폐 관련 안내서에 대해 높은 수요가 있다는 것은 중국 정부의 복잡한 암호화폐 규제에 대해 관심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안내서는 작년 11월 처음 간행되었고 디지털 화폐 기본에서 시작해서 글로벌 금융에 미치는 그 영향에 이르기까지 23개 장으로 이루어졌다. 블룸버그에서 중국경제를 담당하는  이난 자오(Yinan Zhao) 기자는 코인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에서 이 책자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이 안내서는 디지털 화폐에 대해 관련 정부 담당자와 연구원들이 기존에 작성해 발표한 논문들을 묶은 것이다. 여기에서 표명된 견해는 그렇게 새로운 것은 아니다. 이는 정부 규제담당 관료들의 암호화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만들어진 책자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자가 1판 인쇄 후 3개월 만에 재판에 들어갔다는 것은 디지털 화폐에 대한 공산당 관료들의 높은 관심을 대변한다. 이 책자의 표지에는 디지털 화폐에 대해 "미래에 불가피하게 다가올"이라는 수식어를 썼고 이 논문들이 작성된 목적이 "이 기술에 대한 공산당 간부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라고 서술하고 있다.

중국에서 암호화폐와 정치 간의 복잡한 함수관계

중국 정부는 암호화폐가 처음 도입된 이후부터 지금까지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에 대해 상당히 혼란스러운 입장을 취해왔다. 중국에서 이 분야 시장이 급속하게 확대됨에 따라 지난 2017년 암호화폐 거래소와 초기코인상장에 대한 금지 명령이 내려진 바 있다.

그 이듬 해 정부는 2018년 8월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입문서를 내놓는 등 태도를 완화하는 것처럼 보였다. 이번에 나온 매뉴얼은 분산형 원장기술의 건전한 성장을 목적으로 이 기술의 장단점을 중국 정부 관료들에게 교육시키려는 최초의 시도로 보인다. 2019년 초에 나온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이미 블록체인 프로젝트 수에서 세계 최고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점차 분위기가 누그러지고 있음에도 중국은 비트코인(BTC)을 포함한 암호화폐에 대해 여전히 매우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2018년 초부터 중국 인민은행은 디지털 화폐의 도입이 불가피한 것으로 간주하면서도 분산형 화폐의 확산이 금융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다는 조심스러운 입장을 취해왔다.

중국 정부가 2019년 내에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 화폐를 내놓는다는 계획을 진행해왔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이는 그렇게 놀라운 일은 아니다. 인민은행 전임 총재 저우 샤오추안(周小川)은 중국 외부로부터 들여오는 비트코인에 의해 통제되는 것보다 내부 통화정책의 일부로 통제가 가능한 자체 발행 디지털 화폐를 내놓는 계획을 맨처음 실행에 옮긴 것으로 알려졌다.

블록체인 생태계에 대한 통제를 유지한다는 것은 중국 정책입안자들 사이에서 매우 중요한 이슈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지난 2018년 말 코인텔레그래프가 보도했듯이 후오비(Huobi) 거래소가 중국 공산당 위원회 분소를 포함하여 중국 자회사를 재설립 한 바 있다. 한편 2019년 10월 시진핑 국가 주석은 암호화폐에 대한 언급을 회피하면서 블록체인 기술 채택을 적극 확산하자는 연설을 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