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연말 세종정부청사 공무원들은 플라스틱 공무원증 대신 모바일 공무원증으로 간편하게 청사를 출입할 수 있게될 전망이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개별 공무원이 자신의 신원정보를 담은 공무원증을 모바일로 직접 관리토록 함으로써 개인정보 보호와 업무 편의성 향상, 두 토끼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모바일 공무원증으로 세종청사 출입

96만 공무원 대상 확대 적용31일 행정안전부는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 구축' 과제 수행 사업자를 선정하고 서비스 개발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연내 세종정부청사를 출입하는 1만 5000여명 중앙부처 공무원을 대상으로 청사 보안 게이트 및 사무실 출입이 가능한 모바일 공무원증을 발급하는게 1차 목표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서울, 대전, 과천 등 중앙 정부부처로 확대 적용해 나갈 방침이다.

해당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이 추진하는 '2020년도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공공서비스 촉진사업' 중 하나로 총 22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올해 모바일 공무원증 실증 사업을 통해 서비스 편의성과 안전성을 검증한 후 단계적으로 장애인등록증(복지카드), 운전면허증 등으로 발급 범위를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행정안전부는 당초 지난달 과제 수행 사업자를 선정해 오는 12월까지 서비스를 개발하겠다는 일정이었으나, 최종 사업자 선정이 지연되면서 사업추진 일정도 한달 가량 늦어졌다. 우선 협상 대상자로 선정된 '아이티센-유라클' 컨소시엄이 정부와 최종 협상과정에서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하면서, 사업은 해당 컨소시엄과 경합을 벌이던 'LG CNS-라온시큐어-시스원' 연합이 맡게 됐다. 

이번 사업에서 LG CNS는 모바일 공무원증 시스템 설계 및 구축을 담당하고, 라온시큐어는 해당 시스템 내에서 실제 작동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기반 분산ID(DID, Decentralized ID) 플랫폼을 제공할 예정이다. 출입통제 시스템 전문기업인 시스원은 사용자가 모바일 공무원증을 통해 실제 청사 출입이 가능토록 출입구에 물리적인 시스템을 구축한다.

96만 공무원 대상 확대 적용

행정안전부는 향후 지방자치단체 공무원과 교사도 모바일 공무원증을 신원확인 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각 지자체와 교육부 등 유관기관과 협업해 공공 신분확인 체계를 통일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현재 약 96만명에 달하는 공무원이 소지한 카드 공무원증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으로 완전 대체시, 약 124억원의 비용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또, 정부 차원에서 DID 체계를 구축해 개개인의 데이터 자주권을 보장할 수 있는 사회경제적 환경을 조성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개인정보가 특정 기관이 아닌, 개별 모바일 단말에 저장되는 동시에 사용자가 꼭 필요한 정보만 취사선택해 외부 서비스에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행정안전부 측은 "올해 세종정부청사를 포함해 서울청사의 일부 스마트워크센터와 출입구를 대상으로 모바일 공무원증 시스템을 시범 구축할 계획"이라며 "모바일 공무원증 시도가 최초로 이뤄지는만큼, 실증이 이뤄지면 나머지 지자체들의 참여도 뒤따를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