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기관인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금융보안원과 블록체인 기반 핵심 서비스로 꼽히는 DID(탈중앙화된 신원식별 시스템) 기술 표준화 지원 방안을 모색한다.

DID 기반 모바일 전자증명 등 각종 신원·자격·자산증명 서비스들이 서로 연동될 수 있도록 DID 관련 정책·기술 연구 및 표준화 방안을 추진한다는 목표다.

KISA와 금융보안원은 17일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분산ID(DID)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DID는 온라인에서 개인 또는 단체의 신원정보를 중앙기관이 아닌 이용자가 스스로 관리·통제할 수 있는 디지털 신원식별 체계다. 이를 통해 이용자는 본인이 증명하고자 하는 정보만 콕 찍어서 해당 검증기관에 제공, 데이터 주권을 확보할 수 있다.

과기정통부와 KISA는 ‘블록체인 공공선도 시범사업’과 ‘블록체인 민간주도 국민 프로젝트’를 통해 각각 병무청의 ‘본인확인용 블록체인 간편인증’과 ‘블록체인 기반 ID·인증 네트워크’를 실증해 본 상태다. 병무청은 통합인증·보안업체 라온시큐어가 만든 블록체인 신원인증 플랫폼 ‘옴니원’을 바탕으로 병적증명 발급 등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준비 중이며, ‘블록체인 기반 ID·인증 네트워크’는 서비스명을 ‘이니셜’로 정하고 내년 초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다만 현재 서로 다른 DID 얼라이언스가 제각각 기술 표준을 논의하고 있는 만큼, 민간에서 보다 생산적으로 표준화 논의가 활성화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KISA와 금융보안원은 향후 DID 생태계 확산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DID 관련 정책·기술 연구 및 표준화 추진 등을 협력할 예정이다. 또 내년부터 DID사업자와 관련 신원정보를 발급하는 기관 등 모든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협의체도 구성할 계획이다.

KISA 김석환 원장은 “보안을 전담하는 두 기관이 협력해 전 산업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공통 가이드라인 마련을 추진하고 보안사고 방지를 위해 힘쓸 것”이라며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분산ID 생태계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블록포스트 김미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