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걸 맨델커(Sigal Mandelker) 미국 재무차관이 암호화폐가 대테러전쟁에서 '다음 타겟'이 될 것이라고 발언했다.

11일 미 재무부 웹사이트에 발표된 보도자료에 따르면 맨델커 차관은 테러방지대책에 관한 19차 연례 국제 컨퍼런스에서 이같이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금이 여전히 가장 중요한 테러 자금조달 수단

맨델커 차관은 대부분의 테러 조직들이 여전히 현금을 가장 선호하는 자금조달 수단으로 의존하고 있다고 전제하면서도 암호화폐가 그 다음으로 중요한 수단일 수 있다고 부언했다.

"테러 조직들과 그 지원 세력 및 동조자들은  법 집행 기관으로부터 포착 추적되지 않고  자금을 조달 송금할 방법을 끊임없이 찾고 있다. 대부분의 태러 조직들은 송금에 전통적인 금융기관과 현금에 주로 의존하고 있지만 암호화폐에 대한 적절한 보안책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암호화폐가 미래의 주된 테러자금 조달 수단이 될 것이 틀림없다."

하마스는 이미 비트코인 활용 중

맨델커 차관은 또한 지난 2월 팔레스타인의 수니파 근본주의 테러단체인 하마스가 소셜미디어를 통해 비트코인으로 기부금을 내 달라고 요청했었다고 밝혔다. 그로부터 한 달 정도 뒤에 하마스 계정으로 각 5000 달러 정도 금액의 비트코인 송금이 두 건 이뤄졌고 한다. 그녀는 또한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이는 그렇게 큰 액수가 아닐 수 있다. FinCEN 분석에 따르면 테러리즘과 관련된 송금 액수는 거래 건당 600 달러 미만이라고 한다. 테러 공격을 감행하는데는 그렇게 많은 비용이 들지 않는다. 그러나  희생자의 인명피해 비용은 엄청나게 높다."

규제 따르지 않는 시스템은 생존할 수 없어

맨델커 차관은 암호화폐가 상당한 에너지와 전문지식을 요하는 상당한 기술 발전임에는 분명하지만 이를 통한 불법적인 자금 조달을 방지하는 효과적인 시스템이 자리잡히지 않은 상태에서 암호화폐는 절대로 합법화되어서는 안 되며 지금이야 말로 관련 방지 기술을 도입해야 할 시기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녀는,

"테러리스트나 깡패국가, 그리고 우리를 위협하는 이들로 부터 우리나라와  지역사회를 안전하게 지킬 적절한 안전장치가 없다면, 미국은 전세계 다른 국가 정부들과 협력 하여 규제를 따르지(non-compliant) 않는  네트워크나 핀테크가 절대로 생존할 수 없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