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소련 최대의 데이터센터였던 비트리버(BitRiver)가 약 1년 전 시베리아의 브라츠크(Bratsk)시에서 문을 열었으며, 그 고객들 대부분이 이 시설을 이용해 비트코인을 채굴하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 11월 24일자 보도는 전했다.
이 데이터센터를 통해 암호화폐 채굴자들은 한때 세계 최대의 알루미늄 제련소였던 이 곳의 값싼 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다. 1960년대에 구소련이 세운 이 곳은 아직도 가동되고 있는 수력 발전소의 전력으로 운영되고 있다.
추위와 값싼 에너지로 전력비용 절감
이 데이터센터가 추운 지역에 위치한 점도 이점으로 작용하여 채굴 하드웨어의 냉각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작동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세계 2위의 알루미늄 회사 루살(Rusal)의 사장인 억만장자 올레그 데리파스카(Oleg Deripaska)가 약 5년 전에 이 데이터센터 건설 아이디어를 착안해 자신의 회사인 루살과 알루미늄 및 전력 생산업체인 En+를 지휘해 이 시설의 용도변경 사업을 지휘했다고 한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러시아 법률은 암호화폐 채굴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한다. 이처럼 법적으로 모호한 영역이기 때문에, 비트리버는 채굴에 직접 관여하지 않고 일본, 중국 및 미국 등의 고객들에게 장비와 기술 서비스만 제공하고 있다. 즉, 다른 일반 데이터센터처럼 운영되고 있는 것이다.
En+가 이 시설에 최대 100메가와트의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데, 이는 10만 가구가 쓸 수 있을 정도의 에너지이다. 이 발전소는 러시아 최대의 수력 발전소로서, 데이터센터 덕분에 잉여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판매하고 고객기반을 다변화할 수 있다.
비트리버는 전력 비용으로 킬로와트시당 2.4루블을 지불하고 있으며, 이는 부가가치세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약 0.038달러에 해당된다. 채굴자들에게는 킬로와트시당 3.5루블(0.055달러)에 판매하고 있다. 이에 비해 미국 전력의 평균 가격은 킬로와트시당 약 0.12달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