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업계 일부 유명인사들의 말에 따르면 2019년에 비트코인은 한 번도 깊은 하락세에 빠진 적이 없으며 그 증거는 블록체인 상에서 얼마든지 찾아볼 수 있다고 한다.
다양한 지표에 따르면 최근에 비트코인 가격 변동성이 높아지긴 했음에도 거래되기 시작한지 11년째 되는 2019년에 그 어느 때에 비해서도 굳건하게 그 지위를 지키고 있다는 것이다.
BTC 가격은 지속적으로 상승세에 있어
BTC/USD 가격은 9월 이래로 몇 차례에 걸쳐서 상당한 정도 떨어진 바 있다. BTC/USD 가격의 높은 등락폭은 수많은 투자자들로부터 우려를 샀고 일부 전문가들도 심각한 경고를 냈던 바 있다.
그러나 좀더 큰 그림을 보면 상황은 크게 달라진다. 비트코인 가격예측 도구인 Stock-to-Flow 지수를 고안해낸 PlanB는 비트코인의 200주 이동평균(200WMA)은 금년 들어 한 차례도 떨어진 적이 없었다고 말한다.
그는 200WMA 차트를 28일 트위터에 올리면서 단기적인 가격 움직임이 200WMA를 하락세로 돌려놓은 적이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현재 비트코인의 월간 성장률이 3%에 달한다고 덧붙였다.
비트코인 가격대 비트코인 200WMA. 출처 :PlanB, Twitter
현재 비트코인 시장은 '축적세'에 있어
최근 비트코인이 6,400 달러로 떨어졌던 것도 통계전문가 윌리 우(Willy Woo)의 말에 따르면 그렇게 문제될 것이 없다고 한다.
지난 28일 트위터 메시지에서 그는 최근 비트코인이 겪은 일련의 사건들을 그간의 역사에 비춰서 평가를 했다. 그의 말에 따르면 현재의 가격 움직임이 하락장이 아니라 '축적장'이라고 표현했다. 이에 대해 그는 다음과 같이 설명을 하고 있다.
"우리는 지금 $BTC 하락장에 있는가? 그렇지 않다. 우리는 지금 호황장의 재매집 단계에 있는 것이다."
다양한 가격대에서의 비트코인 투자자 활동 양상. 출처 : Willy Woo, Woobull.com, Twitter
윌리 우는 또한 2018년 12월 비트코인 가격이 3,100 달러였을 적을 상기시켰다. 그 시점은 어쩌면 이번 달의 상황과 유사할지도 모른다고 그는 말했다.
'호들러(hodler)'들이 토큰을 쥐고 팔지 않으려 하는 듯
코인텔레그래프가 전에도 보도했다시피 투자자들의 행동은 2019년 4월 비트코인 폭등세가 있기 전부터 변화하기 시작했다. 3,100 달러에서 14,000 달러로 폭등에도 불구하고 시장에 나온 BTC 가운데 월렛에서 빠져나온 것은 얼마 되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자 알리스테어 밀너(Alistair Milne)는 지난 주말에 비트코인 공급량의 70% 정도가 지난 6개월 동안에 걸쳐 한 자리에서 움직이지 않았었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러한 패턴은 비트코인의 2016년 블록 리워드 반감기(halving) 직전까지 있었던 것과 유사하다고 그는 말했다. 이제 2020년 5월 또 다른 반감기를 앞두고 이는 비트코인 가격을 크게 끌어올릴 축매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반감기의 영향은 대체로 1년 후에나 드러나고 있으며 내년 5월 반감기의 영향 시기에 대해서는 아직도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