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타바바라 소재 캘리포니아 주립대(UCSB)가 블록체인과 분산형 원장기술에 초점을 맞춘 정규 과목의 학기를 최근에 마무리했다.

창의연구학부(College of Creative Studies)에서 컴퓨터 과학 과목들 중 하나로 개설됐던 이 강좌는 학생, 교수, 블록체인 전문가, 그밖에 블록체인 기술의 대대적 채택을 원하는 개인들로 구성된 비영리기관인 블록체인 엑셀러레이션 재단(BAF)의 요청에 따라 만들어진 것이다.

UCSB 블록체인 프로그램의 공동 설립자이자 BAF의 대표이기도 한 캐머론 데니스(Cameron Dennis)는 대학 캠퍼스에서 블록체인에 대한 관심이 급속하게 고조되고 있기는 하지만 UCSB 학생들이 블록체인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기회는 별로 주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UCSB 대학 당국과 여러 차례에 걸친 회합 끝에 블록체인에 초점을 둔 컴퓨터 과학 과목을 개설하는 것이 필요함을 설득시킬 수 있었다고 말했다. 

블록체인 교육의 중요성

지난 8월 28일 발행된 대학교육에 대한 2차 코인베이스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들어 전세계 50대 대학중 56%의 대학이 최소한 한 과목 이상의 암호화폐 또는 블록체인 관련 과목을 가르치고 있는데, 이 수치는 2018년에 대비해서 42%가 증가한 것이다. 이 보고서에서는 또한 금년도에 전년 대비 두 배에 달하는 학생들이 암호화폐나 블록체인에 대한 과목을 이수하고 있다고 밝혔다.

코인베이스 보고서에서는 또한 컴퓨터 과학 관련 학과에서 블록체인에 대한 과목을 가장 많이 개설하고 있으나(전체의 32.2%를 차지) 금융, 경영, 경제 학과에서도 블록체인에 대한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고 한다.

'분산형 원장기술'이라는 이름으로 UCSB에서 개설된 과목은 컨센서스 메커니즘, 비트코인, 작업증명(PoW), 이더리움 가상머신, 솔리디티(Solidity), 스마트계약 개발,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  영지식증명(zero-knowledge proof) 등 관련 블록체인 토픽들에 대해 가르치고 있다.

이 강좌는 주요 대기업들을 대상으로 블록체인에 대해 강의를 한 경력을 갖고 있는 무랏 카라오르만(Murat Karaorman) 교수가 맡아서 가르치고 있다. 이 강좌에 초청된 강사들로는 오키드 랩(Orchid Labs)의 공동설립자이자 시디아(Cydia) 앱의 개발자인 제이 프리맨(Jay Freeman), 프로토콜 랩(Protocol Labs)의 과학자 에반 미야조노(Evan Miyazono), 메이커DAO의 백엔드 서비스 책임자 니클라스 컨켈(Niklas Kunkel), 이더리움 재단의 CBC 캐스퍼 석좌 연구원인 아디티야 아스가온카르(Aditya Asgaonkar) 등이 있다.

다른 블록체인 강좌들

UCSB는 최근에 다섯 개의 블록체인 관련 강좌를 마쳤으나 지난 2018년 6월 설립된 리플(Ripple)의 대학 블록체인 연구 이니셔티브(UBRI)는 지금까지 전세계 29개 대학에 대해 5000만 달러에 달하는 자금을 제공했다.

리플에 따르면 이들 펀딩을 통해 교수 및 대학 행정당국은 블록체인이 직면한 중요한 이슈들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 이 분야에 대해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을 계속할 수 있다고 한다.

MIT스탠포드 대학 같은 다른 유명 대학들도 2018년부터 블록체인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데이비스 소재 캘리포니아 주립대학의 블록체인 조언책임자인 커크 맥그레거(Kirk McGregor)는 블록체인이 향후 경제발전 및 사회개혁 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며 그럼에 따라 이에 대한 강좌를 개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블록체인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디지털 서비스 확산을 위해 기술적인 측면에서도 중요하지만 커뮤니티에 대한 정책 개선이라는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블록체인에 대한 커리큘럼에 학점을 이수하도록 하는 것은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기존의 비즈니스 관행에 대한 문화적인 대안을 제공한다는 면에서도 의미가 있는 일이다. 이 두 가지 측면에서 모두 블록체인은 경제발전과 사회개혁에 기여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