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브스의 12월 28일자 보도에 따르면, 안토니오 구테레스(António Guterres) 유엔(UN) 사무총장은 유엔이 블록체인 기술을 수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한다.

"유엔이 디지털 시대에 맡은 바 사명을 보다 잘 완수하기 위해서는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달성을 앞당기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블록체인과 같은 기술을 채택해야 한다"고 그는 말했다.

구테레스 사무총장이 블록체인 기술의 잠재력을 높이 평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작년 7월에는 자신이 창설한 ‘디지털 협력에 관한 고위급 패널’에서 명시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의제로 내세운 바 있다.

2018년 9월에는 국가 간에 국가기관에 대한 신뢰가 감소하고 규칙 기반의 세계 질서가 쇠퇴했으며, 블록체인과 같은 기술이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암호화폐에 대해서는 그만큼 긍정적으로 말하지 않았다.

“조직화된 범죄 망이 다크 웹에 도사리고 앉아 암호화와 익명성에 가까운 암호화폐 결제를 이용해 인신매매와 불법제품 밀거래를 자행하고 있다.”

지난 8월 말에는 유엔 마약범죄 예방기구(UNODC) 글로벌 사이버 범죄 프로그램의 책임자인 닐 월즈(Nei Wals)가 암호화폐로 인해 돈세탁 범죄와 싸우기가 훨씬 더 어려워지고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유엔의 블록체인 관련 사례

구테레스 사무총장이 디지털 협력 프로그램을 개설한 이래로 유엔 측의 블록체인 사용이 상당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달 초에는 블록체인 금융 서비스 회사와 협력하여 홍콩의 외국인 노동자 착취를 막기 위한 블록체인 도구를 출시했다.

또한 아프가니스탄의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을 위한 블록체인 솔루션도 개발 중이다.

지난 4월에는 유엔 항공 전문기구의 의장이 블록체인 기술로 전세계의 항공 시스템 전반에 엄청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