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영국, 일본, EU, 스웨덴, 스위스의 중앙은행 당국자들이 국제결제은행(BIS)과 손을 잡고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에 대해 공동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그룹을 구성했다.

21일 영란은행이 발표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위 6개국 중앙은행들이 다른 그룹 멤버들과 CBDC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공유하기로 했다고 한다. 이 보도자료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이 그룹은 CBDC의 사용사례와 국제적인 호환성을 포함한 그 경제적, 기능적, 기술적 디자인 선택을 평가하며 새로운 기술에 대한 지식을 공유하고자 한다. 이 그룹은 관련 기관 및 포럼 등과 긴밀한 관계를 맺을 예정으로 특히 금융안정위원회(Financial Stability Board), 지급결제 및 시장인프라 위원회(CPMI) 등과 협력을 유지할 것이다."

이 연구그룹의 의장직은 브누아 꾀레(Benoît Cœuré) BIS 이노베이션 허브 책임자와 영란은행 부총재 겸 CPMI 책임자인 존 컨리프(Jon Cunliffe)가 공동으로 맡기로 했다. 이 그룹에는 6개 중앙은행들과 BIS의 대표들도 회원으로 참여할 예정이다.

각국 중앙은행들이 디지털화폐 발행 여부를 놓고 논의를 진행 중

전세계에 걸쳐 다수의 중앙은행들이 CBDC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화폐 발행에 대해 연구와 파일럿 등을 시도하고 있다.

이번 달 초 코인텔레그래프가 보도한 것처럼 유럽중앙은행(ECB) 크리스틴 라가르드(Christine Lagarde) 총재는 CBDC 개발을 위한 ECB 내부의 연구 노력을 전적으로 지지한다고 말한 바 있다. 라가르드 총재는 신속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페이먼트에 대한 수요가 많이 존재한다고 말하고 ECB는 빠르게 변화하는 세계에서 소극적인 방관자가 되기보다는 보다 적극적인 주도적 역할을 맡길 원한다고 발언했다.

대부분의 다른 중앙은행들은 CBDC가 바람직한지를 놓고 토론을 벌이는 단계에 머물러 있지만 중국의 인민은행은 최근에 디지털 위안화에 대한 최고 층위 디자인을 완결하고 테스트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