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네이버의 일본 자회사인 라인(LINE)과 일본 소프트뱅크가 운영하고 있는 야후재팬의 경영통합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두 회사의 통합이  글로벌 최대 규모의 블록체인 기업 탄생을 예고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다.

라인과 야후재팬은 각각 일본 금융청(FSA)이 승인한 암호화폐 거래소를 운영하고 있다. 여기에 양사가 지닌 검색과 전자상거래, 핀테크 서비스를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서비스에 결합하면 새로운 디지털 금융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페이스북의 ‘리브라 프로젝트’가 주춤하는 사이 세계 블록체인·암호화폐 시장을 선점할 아시아 기업이 탄생할 수 있다는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14일 네이버는 “라인 주식회사는 Z홀딩스와 사업 경쟁력 확보 등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검토하고 있다”며 “현재까지 구체적으로 결정된 사항은 없다”고 공시했다. 지난 13일 외신을 통해 네이버의 자회사 라인과 소프트뱅크의 자회사 야후재팬의 통합이 진행중이라는 보도가 나온지 하룻만이다.

이 두회사는 암호화폐 관련 사업에도 적극 나서고 있는 주인공들이다. 라인은 블록체인‧암호화폐 사업 자회사 LVC 주식회사(LVC)가 운영하는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맥스(BITMAX)’를 운용중이다. 야후재팬의 자회사 Z코퍼레이션을 통해 인수 후 운영하는 암호화폐 거래소 ‘타오타오(TAOTAO)’ 도 일본 암호폐 시장의 메이저 기업이다. 두 회사 모두 일본 금융청(FSA)의 승인을 받고 영업을 진행중이다.

또 Z코퍼레이션은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 현지 매체인 ‘코인데스크 재팬’을 운영하는 엔.애비뉴(N.Avenue)와도 관계사다. 엔.애비뉴는 지난 2~3일 이틀간 대형 블록체인 컨퍼런스 ‘비. 도쿄(b.tokyo)’도 개최했다. 즉 소프트뱅크와 야후재팬은 자회사 등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에 깊숙이 관여하고 있는 것이다.

라인 LVC 역시 암호화폐 거래소 허가를 받으면서 법정통화(엔화)를 비롯해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리플(XRP), 비트코인 캐시(BCH), 라이트코인(LTC) 등 시가총액 상위권 암호화폐를 취급하고 있다. 코인데스크 재팬은 이날 라인과 야후재팬 간 경영통합 검토 소식을 전하면서 라인의 암호화폐 서비스를 6개 분야로 나눠 분석했다. 이른바 ‘라인 토큰 이코노미’다.

업계 한 전문가는 “라인과 야후재팬의 통합이 현실화될 경우 양사의 메신저와 인터넷, 핀테크 서비스 이용자 10억명을 기반으로 블록체인·암호회폐를 결합한 새로운 금융서비스 모델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며 “미국의 페이스북이 주춤하는 사이 아시아에서 차세대 테크핀 산업을 개발하고 글로벌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초대형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탄생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블록포스트 김미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