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블록체인 기반 분산 신원인증 서비스 육성을 위해 DID(Decentralized ID) 표준을 논의할  민관 협의체를 만든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사회경제적으로 비대면 서비스 요구가 늘어나면서, 사용자가 간편하게 신원을 증명하고 개인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DID 서비스 환경을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KISA 황인표 블록체인확산팀장은 지난 9일 '블록체인 테크비즈(TechBiz) 컨퍼런스' 웨비나에서 "오는 16일 DID 민관 협의체를 발족할 예정"이라며 "협의체를 통해 민간 의견을 수렴하고 DID 기술 및 서비스 표준을 만드는데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DID는 신원 및 자격 증명시 사용자가 증명 목적에 필요한 정보만 골라 검증기관에 제공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격증명 서비스다. 증명에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 전달할 수 있어 개인정보 유출을 죄소화 할 수 있는 신원확인 체계로 평가되고 있다.

황 팀장은 "지난달 (공인인증서 폐지를 골자로 한) 전자서명법이 통과 이후 DID가 새로운 인증방식으로 주목받을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이런 상황에서 정부 부처별로 각기 다른 DID 인증 시스템을 쓴다면, 소비자 입장에서 이를 하나하나 접속해야 하는 불편이 있기 때문에 정부에서 일관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통합 DID 공공 애플리케이션(앱)을 만드는 방안을 고안하고 있다"고 말했다.

황 팀장은 이를 구현하기 위한 선결과제로 관계부처간 협의, 민간과 공공 DID 시스템간 연계 및 검증 방안 수립 등을 꼽았다. DID 민관 협의체에서 해당 과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또 향후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환경에서 사람과 사물 간 아이디 기반 자유로운 인증을 실현하기 위한 DID 활용연구도 함께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황 팀장은 지난 2018년부터 KISA가 추진해 온 '블록체인 시범사업' 지원체계도 개선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보통 KISA에서 연초에 사업자를 선정한 후 약 1년 동안 블록체인 공공 서비스 개발을 지원했던 시범사업 기간을 2~3년으로 늘려 다년도 사업으로 진행하고, 공공과 민간 과제로 분리해 진행했던 사업을 통합 운영할 예정이다.

황 팀장은 "민간의 혁신적 아이디어를 적극 반영하기 위해 그동안 분리해왔던 공공·민간 시범사업을 내년부터 통합운영할 것"이라며 "또 블록체인 연구개발(R&D) 성과를 시범사업에 녹여내는 방향으로 사업간 연계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