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은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경제에 대한 공포" 덕분에 오를 수도 있지만 바이러스 확산이 지속되면 상승세가 그리 오래 갈 것 같지는 않다고 애널리스트들은 예측하고 있다.
비트코인은 28일 9,000 달러 선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으며 코로나바이러스로 중국이 거의 마비되다시피 한 지난 한 주 동안에 4%가 오른 상태에서 거래되고 있다.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불확실성 시장에 확산 중
이 전염병이 현재 중국의 경제성장 전망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으며 글로벌 경제 조짐을 보더라도 투자자들이 단기적인 움직임에 보다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코인텔레그래프 마켓(Cointelegraph Markets)의 애널리스트 매티 그린스펀(Mati Greenspan)에 따르면 두려워하는 분위기가 벌써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다고 한다. 미국 채권수익률 차트를 업로드하면서 그는 1개월 만기 채권 수익률이 7년 만기 옵션보다 더 높음을 지적했다.
그는 "이는 투자자들이 단기적으로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음을 반영한다"고 설명했다.
그러한 경제적 불확실성과 시장 불안정성은 때로 비트코인의 높은 상승세를 가져오곤 했다. 코인텔레그래프에서 전에 보도했듯이 이번 달 초의 이란 위기는 비트코인 가격을 끌어올린 지정학적 요인들 중의 하나였다.
그린스펀은 비트코인이 다른 자산들과 큰 상관관계를 갖지 않는다고 말하고 있지만 주류 언론들은 비트코인이 코로나바이러스가 창권하는 가운데 오름세를 유지하는 거의 유일한 자산이라는 주장을 퍼뜨리고 있다.
"코로나바이러스가 비트코인에 유리하게 작용"이라는 제목의 파이낸셜 타임스 기사는 특히 높은 비판을 받고 있다. 이 기사에서는 특히 알트코인인 분석에 전념하는 두 개의 트위터 계정을 소스로 하여 인용을 하고 있다.
바이러스 전세계 확산은 BTC에 불리할 수도 있어... 톤 베이
한편 암호화폐 투자자 톤 베이(Tone Vays)는 코로나바이러스의 영향에 대해 언급하면서 전염병이 비트코인 가격 상승에 계속해서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견해에는 동의하지 않았다.
그러면서 그는 만약 이 바이러스가 전세계적으로 확산될 경우 투자자들 사이에 패닉이 일어나고 투기활동은 수그러들 수 있다고 말했다. 즉 비트코인 같은 비전통적인 자산에 대해 투자자들의 관심이 줄어들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유튜브 상의 Trading Bitcoin 채널에 올린 최근 비디오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기도 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일정한 정도의 우려를 초래하고 따라서 일정한 선까지는 바이러스의 확산이 비트코인 가격의 상승에 도움이 된다는 것은 확실한 사실이다."
베이는 또한 비트코인이 최근에 거둔 상승 실적을 굳히기 위해서는 적어도 며칠 동안 9,000 달러 이상으로 머물러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코로나바이러스'와 '비트코인'에 대한 구글 검색 결과. 출처 : Google Trends
그런 한편 구글 트렌드(Google Trends)의 데이터에 따르면 바이러스 사태와 비트코인 간에는 그다지 높은 상관관계가 없는 것처럼 보인다. 비트코인 검색 회수는 지난 한 달 사이에 큰 변화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